본문 바로가기
백과사전/자연

한국의 멸종위기 동물: 보호가 절실한 생태계의 보물

by 퍼브릭 2024. 10. 25.
반응형

한국의 자연 생태계는 다양한 동물들이 서식하는 소중한 자산입니다. 하지만 급격한 도시화환경 파괴, 기후 변화 등의 이유로 많은 동물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에서 여러 가지 이유로 멸종위기로 내몰리는 동물들이 있습니다.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한국의 멸종위기 동물, 그들의 주요 서식지, 천적, 그리고 이미 멸종된 동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의-멸종위기-동물들

 

한국의 멸종위기 동물 종류

한국에는 환경부에서 지정한 멸종위기종 Ⅰ급과 Ⅱ급 동물들이 있습니다. 멸종위기 Ⅰ급은 개체 수가 매우 적어 즉각적인 보호가 필요한 종들을 의미하며, Ⅱ급은 보호가 필요하지만 상대적으로 개체 수가 조금 더 많은 동물들입니다.

멸종위기 Ⅰ급 동물

  1. 한국호랑이 (시베리아호랑이)
    과거에는 한반도 전역에 걸쳐 서식하던 호랑이는 현재 거의 멸종된 상태입니다. 소수의 개체가 북한러시아 접경 지역에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2. 수달
    수달은 깨끗한 하천과 강에서 살아가며, 물고기를 주식으로 하는 동물입니다. 주로 강원도, 경상도 등의 청정지역에서 발견되며, 불법 밀렵하천 오염으로 서식지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3. 산양
    주로 백두대간강원도 고산지대에서 서식하는 산양은 사람들의 산악 개발로 인해 서식지가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산양은 높은 산을 좋아하며, 주로 소나무 숲에서 생활합니다.

 

시베리아호랑이-동뭘원에서만-볼수있다

 

멸종위기 Ⅱ급 동물

  1. 붉은박쥐
    붉은박쥐는 한국의 남부 지역에서 주로 서식하며, 주로 동굴이나 나무 틈에 거주합니다. 박쥐는 야행성으로, 주로 곤충을 먹습니다. 환경 변화농약 사용으로 인해 서식지가 감소하고 있습니다.
  2. 따오기
    한때 한반도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따오기는 현재 야생에서 거의 멸종된 상태입니다. 따오기는 주로 갯벌습지에서 서식하며, 한반도의 갯벌 개발로 인해 서식지가 파괴되었습니다. 현재 인공 번식 프로젝트로 개체 수가 조금씩 회복되고 있습니다.
  3. 반달가슴곰
    지리산에서 소수의 반달가슴곰이 보호되고 있으며, 불법 밀렵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 수가 급격히 줄어들었습니다. 국립공원 관리팀에서 꾸준히 복원 프로젝트를 진행 중입니다.

 

 

주요 서식지와 천적

한국의 멸종위기 동물들은 주로 산악 지역, 습지, 강가 등의 자연환경에서 서식합니다.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한 산림 지역이나 낙동강, 한강 등의 강 유역은 멸종위기 동물들이 서식하는 중요한 생태적 거점입니다.

주요 서식지

  • 지리산: 반달가슴곰과 산양의 주요 서식지.
  • 백두대간: 산양과 붉은박쥐가 서식하는 중요한 생태 지역.
  • 강원도 하천: 수달이 서식하는 깨끗한 물 환경이 유지된 지역.
  • 순천만: 따오기가 서식하던 대표적인 습지 지역.

천적

멸종위기 동물들에게는 자연적인 천적도 있지만, 가장 큰 위협은 인간 활동입니다. 밀렵서식지 파괴, 오염 등 인간의 행동이 동물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반달가슴곰수달의 주요 천적은 사람이며, 밀렵과 불법 거래가 여전히 문제입니다.

 

 

이미 멸종된 동물

한국에서 이미 멸종된 동물들도 있습니다. 과거에 풍부하게 서식했으나,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멸종된 대표적인 동물들입니다.

  1. 조선호랑이 (한국호랑이)
    한반도 전역에서 서식하던 조선호랑이는 20세기 초까지 서식했지만, 일본 식민지 시기 동안 무분별한 사냥으로 인해 멸종되었습니다. 현재는 한국에서 볼 수 없지만, 러시아 시베리아북한 일부 지역에서 유전자 조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2. 황새
    한때 한반도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황새는 1970년대 이후로 한반도에서 야생 개체가 멸종했습니다. 그러나 최근 인공 번식을 통해 황새를 복원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황새-자연에서-볼수있을지도

 

겨울잠을 자는 동식물과 관련된 멸종위기종

또한, 멸종위기 동물 중에는 겨울잠을 자는 종도 있습니다. 붉은박쥐는 대표적인 겨울잠 동물로, 동굴 속에서 겨울을 보내며 에너지를 보존합니다. 이외에도 산양과 같은 일부 고산지대 동물들도 겨울철 활동량이 줄어들고, 서식지에서 적응하는 방식으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한국의 멸종위기 동물들은 소중한 생태계의 구성원이며, 그들의 보전은 우리의 책임입니다. 멸종된 동물들을 되돌릴 수 없지만, 지금이라도 남아있는 종들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멸종되거나 멸종위기에 있는 동물들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반응형

댓글